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133)
리눅스 명령어 단축키 명령어를 입력할 때 사용 가능한 단축키 ctrl + a 명령어 맨앞칸으로 이동 ctrl + e 명령어 맨뒷칸으로 이동 ctrl + u 커서를 기준으로 앞을 삭제 ex) 뒤쪽 c에 커서를 맞춘 후 실행 [root@Linux ~]# cat hi.txt; cat hello.txt [root@Linux ~]# cat hello.txt ctrl + k 커서를 기준으로 뒤를 삭제 ex) 뒤쪽 c에 커서를 맞춘 후 실행 [root@Linux ~]# cat hi.txt; cat hello.txt [root@Linux ~]# cat hi.txt; ctrl + r 본인이 친 명령어를 역순으로 검색해준다. Ctrl + c 강제 종료 > > > > 이런식으로 엔터를 쳐도 빠져나올수 없을때는 ctrl + c 를 쓰면 빠져나온다..
grep 문자열 또는 정규식을 포함하는 텍스트를 검색하는 명령어이다. 사용법 grep [옵션] [패턴] [파일] 옵션 기본 [root@Linux ~]# history | grep cl 54 clear 78 history | grep cl -c : 지정한 패턴과 일치하는 텍스트의 수를 출력한다. [root@Linux ~]# grep -c 1 A.txt 7 -i : 대소문자를 구별하지 않는다. [root@Linux ~]# grep -i apple A.txt apple APPLE -v : 일치하지 않는 행만 출력한다. [root@Linux ~]# cat A.txt apple banana pineapple [root@Linux ~]# grep -v apple A.txt banana -n : 행의 번호를 함께 출력한다. ..
history 지금까지 입력했던 명령어들이 표시된다. history -c 히스토리 삭제 [root@Linux ~]# history -c [root@Linux ~]# history 1 history !명령어 번호 히스토리에 기록된 번호의 명령어가 실행된다. [root@Linux ~]# history 1 history ... 107 echo \#comment #comment 108 history [root@Linux ~]# !107 echo \#comment #comment #comment !! 바로 직전의 명령어를 재실행한다. [root@Linux ~]# ls -l total 0 drwxr-xr-x. 2 root root 6 Apr 28 12:48 test [root@Linux ~]# !! ls -l total 0 dr..
정규표현식 [root@rocky1 ~]# semanage fcontext -d -t httpd_sys_content_t '/QWE(/.*)?' (/.*)? () : 정규 표현식 그룹 / : Linux에서 경로의 시작을 나타낸다. . : 임의의 한 문자 * : 앞의 문자가 0개 이상 반복 (ex. a*e -> e, ae, aae, aaae ````) ? : 앞의 문자가 없거나 1개 (ex. th?e -> te, the) /QWE(/.*)? 해석 /QWE 경로 아래에 있는 모든 파일이나 디렉토리에 대한 파일 컨텍스트 정책을 제거를 한다.
vi(vim) 텍스트 에디터로서 vim은 vi를 업그레이드한 모드이다. vi로 입력해도 vim으로 작동이 된다. 기본적으로 방향키로 커서 이동 k, j, h, l - 상, 하, 좌 우 로 대체될 수 있다. VI 단축키 i : insert 모드 I : 현재 커서 맨 앞으로 이동 후 insert 모드 a : 커서 한칸 뒤로 이동하여 현재 커서 앞으로 내용이 적을수 있다 (insert) A : 줄 맨 뒤로 이동후 insert모드 o : 한칸 아래에서 글을 쓰기 시작할 수 있다(insert) O : 그 윗줄로 올라가서 글을 작성할 수 있다 (현재 줄을 전체 한칸 내리게된다.) (insert) w : 워드 첫 글자 기준으로 화살표 이동시 이동된다. W : 공백기준으로 첫글자에서 이동된다. b : 뒤에서 부터 단어의 첫 글자로 ..
EOF, --stdin EOF End Of File이라는 뜻으로 직접 입력한 텍스트를 파일에 저장할때 쓰인다. [root@Linux ~]# cat happy > sad > bad > EOF # 입력 종료 [root@Linux ~]# cat test.txt happy sad bad --stdin standard input이라는 뜻으로 passwd명령어가 파이프로 넘겨받은 항목을 읽어야 할때 사용이 된다. 한 줄로 암호를 변경 [root@Linux ~]# echo "platinum" | passwd --stdin admin “platinum”이라는 문자열을 파이프로 넘겨 stdin으로 받아 admin의 패스워드를 변경한다 *일반 문자를 출력할 때는 “ ”를 생략해도 되지만 특수문자를 입력할 경우 출력되지 않는 문자가 있다. 그러므..
리 다이렉션 & 파이프 1. 리 다이렉션 Redirection(입출력 재 지정)이란 표준 입력/출력/에러를 화면이 아닌 파일로 대체하는 것을 말한다. 기호의 종류 리다이렉션 기호 내용 파일 쓰기(덮어쓰기) >> 파일 쓰기(이어쓰기) 파일 디스크립터 파일 디스크립터 (일련번호) 이름 용도 표준장치 0 stdin 명령어에 입력될 내용을 저장 키보드 1 stdout 명령어에서 출력될 내용을 저장 화면 2 stderr 명령어에서 출력될 에러 메시지를 저장 화면 다양한 리다이렉션 기호 조합 명령 &> 파일명 # : 명령이 실행된 표준 출력의 결과와 에러를 파일로 출력 명령 &>> 파일명 # : 명령이 실행된 표준 출력의 결과와 에러를 파일로 덧붙여 출력 명령 2> err.txt # : 명령 실행 시 에러가 나면, 에러를 화면에 출력하지..
echo, cat, head, tail echo 화면에 텍스트나 문자열을 출력하는데 사용된다. 입력된 내용을 터미널에 출력해준다. [root@Linux ~]# echo "hi" hi 내용을 파일로도 저장 가능 [root@Linux ~]# echo "hi" > hi.txt [root@Linux ~]# cat hi.txt hi 현재 적용중인 쉘 확인하기 [root@Linux ~]# echo $SHELL /bin/bash cat 문서의 내용이나 텍스트 파일의 내용을 출력시켜준다. 사용법 cat [옵션] 예시 [root@Linux ~]# echo 'hi' > hi.txt [root@Linux ~]# cat hi.txt hi cat “파일명” “파일명” : 여러개의 파일을 동시에 보기. [root@Linux ~]# echo ‘hi’ > hi.tx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