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133)
특수 권한 예외적인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권한이며, 기존의 권한 3+3 분류로 해결할수 없는 특수한 상황이 필요한 경우가 있기 때문에 추가된 기능이다. 권한 파일에 미치는 영향 디렉토리에 미치는 영향 suid 파일을 실행한 사용자가 아니라 소유자의 권한으로 파일이 실행 아무 영향이 없다 sgid 파일을 소유한 그룹권한으로 실행 디렉토리에 생성되는 파일의 그룹 소유자가 디렉토리의 그룹 소유자와 일치하게 된다. sticky 영향이 없다 디렉토리에 대한 쓰기 권한이 있는 사용자가 자신이 소유한 파일만 제거할 수 있고 다른 사용자가 소유한 파일을 제거하거나 강제로 저장할 수 없다. 1. suid(setuid) 소유자의 권한이 있어야만 접근할 수 있는 파일의 경우, 일시적으로 일반 사용자들에게 파일 접근 권한을 부여하기 ..
Linux 파일 시스템 권한 Linux는 여러 사용자가 들어와 사용하는 멀티유저 시스템이다. 그렇기 때문에 원하지 않는 사용자가 서버에 올려진 중요 자료를 열람하거나 수정, 삭제를 할 우려가 생기게 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능이 permission(권한)이다. 파일을 최초로 만든 사용자가 파일의 소유권을 가진다. 1. 허가권(permission) 파일에 대한 소유자와 소유그룹, 기타 사용자의 권한을 지정한다. [root@Linux ~]# ls -l -rw-r--r--. 1 root root 0 4월 26 15:05 a1.txt 앞에서부터 세 개씩 끊어 각각 소유자(rw-), 소유그룹(r--), 게스트사용자(r--)를 의미한다. 권한 파일 디렉토리 r(read) 파일을 읽을 수 있다 디렉토리 내용을 표시 가능 w(write)..
systemd 개요 systemd(system daemon)란 시스템을 부팅한 뒤 가장 먼저 생성되어 System and Service Manager로서 시스템의 부팅 및 서비스를 관리해주는 데몬이다. RHEL7부터 기존에 사용되던 init을 대체하였으며, 용도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유닛으로 시스템을 관리한다. PID는 1, 부모 프로세스가 없으므로 PPID도 1이다. 데몬(daemon) : 백그라운드에서 동작하는 시스템으로 터미널이나 사용자가 없어도 움직인다. systemd 주요 디렉토리 경로 설명 /etc/systemd/system 유닛의 환경 설정 파일이 위치하는 디렉토리. 시스템 관리자가 생성, 관리하는 유닛들이 저장된다. /run/systemd/system 런타임(Runtime) 상태일 때 임시로 유닛 파일을..
프로세스 프로세스의 정의 실행중인 프로그램 또는 PCB (Process control block)을 지닌 시스템 프로그램 카운터를 가진 프로그램을 프로세스로 정의한다. 프로세스가 실행되는 방법 리눅스 프로세스는 fork(새로 메모리를 할당받아 복사본 형태로 실행) 방식과 exec(새로운 프로세스를 호출하여 대체 하여 기존의 프로세스는 지워지며 새로운 프로세스만 실행) 방식으로 작동된다. 이렇게 새로운 프로세스로 대체하는 과정에서 지워지지 않는 프로세스를 좀비 프로세스 라고 부르며 kill명령어로 프로세스작업을 죽이는 작업을 해야 한다. 하지만 kill명령어로 죽지않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이럴때는 부모프로세스를 kill해야한다. (물론 부모프로세스를 kill하여도 문제가없을 경우만) 프로세스 확인 방법 pstree..
링크(link) Windows에서 사용하는 바로가기와 동일. 하드 링크와 심볼릭 링크(소프트 링크)로 나뉜다. 하드 링크 동일한 유형의 파일만 하드링크 생성이 가능하다. 디렉토리는 하드 링크로 생성 불가능 하다. 원본파일과 동일한 inode 번호와 허가권 가진다. 원본파일을 옮기거나 삭제하더라도 데이터에 접근 가능하다. 심볼릭 링크 원본파일과 링크파일의 파일 유형이 달라도 생성 가능하다. 원본파일과 심볼릭링크 파일은 서로 inode 번호와 파일의 권한이 다르다. 원본파일의 inode가 아닌 데이터 경로만을 참조한다. 심볼릭 링크로 만들 때는 가급적 절대경로로 만드는것이 좋다. 파일에 접근할 때마다 원본파일의 이름을 확인하기 때문에 원본파일이 삭제되거나 이름이 변경될 경우 데이터를 찾지 못한다. 하드 링크와 소프트(심볼릭..
i-node 파일은 크게 [파일시스템의 전체정보] + [파일의 정보] + [파일의 데이터]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파일의 정보를 구성하는 부분이 i-node이다. i-node(index-node) : 파일에 대한 정보를 가짐. 각각의 파일이나 디렉토리는 고유한 i-node를 가지고있다.
절대 경로와 상대 경로 절대 경로 최상단 루트(/)에서부터 파일에 도달하기 위해 지나야 하는 각 하위 디렉토리를 포함하는 경로. 현재 위치가 어디에 있건 목적 파일까지의 절대 경로는 변하지 않는다. realpath 명령어로 절대 경로 확인 가능 [root@Linux aclocal]# realpath pkg.m4 /usr/share/aclocal/pkg.m4 상대 경로 현재 자신의 위치에서 파일에 도달하기 위해 지나야 하는데 필요한 경로만 지정한다. 현재 위치에 따라 목적 파일까지의 상대 경로가 변한다. ./ : 현재 디렉토리 ../ : 상위 디렉토리 ex) 현재 나의 위치가 ‘bbb’ 일때 ‘ddd’ 로 가는법 (출처 : https://dololak.tistory.com/183) 절대경로 $ cd /opt/aaa/window/..
디렉토리 란? 파일을 보관하는 경로이다(Windows의 폴더). 리눅스는 모든것을 파일로 인식하기 때문에 디렉토리도 하나의 파일로 인식된다. 최상위에 루트(/)디렉토리 부터 하위 디렉토리로 뻗어나가는 트리구조이다. ex) 루트 디렉토리 [root@Linux /]# ls afs boot etc lib media opt root sbin sys usr bin dev home lib64 mnt proc run srv tmp var 주요 디렉토리의 기능 디렉토리 명 설명 / 리눅스 파일 체제의 최상위 디렉토리 모든 디렉토리들의 시작점으로 일반적인 데이터를 저장하지 않는다. home 사용자 홈 디렉토리가 생성되는 곳이다. media CD ROM이나 USB같은 외부 장치를 연결하는 디렉토리이다. opt 추가 패키지가 설치되는 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