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33) 썸네일형 리스트형 stat 사용법 stat [파일명] 파일의 스테이터스를 보여준다. [root@Linux ~]# stat abc File: abc Size: 0 Blocks: 0 IO Block: 4096 regular empty file Device: fd00h/64768d Inode: 135940713 Links: 1 Access: (0644/-rw-r--r--) Uid: ( 0/ root) Gid: ( 0/ root) Context: unconfined_u:object_r:admin_home_t:s0 Access: 2023-04-24 16:52:50.117574839 +0900 Modify: 2023-04-24 16:51:37.414053358 +0900 Change: 2023-04-24 16:51:37.414053358 +.. ln 하드링크 또는 심볼릭 링크 파일을 만든다. 사용법 ln [옵션] [원본파일] [링크 파일명] 옵션 옵션 설명 -b 같은 이름의 파일이 존재한다면 백업파일을 생성한다. -f 같은 이름의 파일이 존재한다면 대상파일을 삭제한다. -i 같은 이름의 파일이 존재한다면 삭제 여부를 확인한다. -S 같은 이름의 파일이 존재한다면 백업파일의 접미사(suffix)를 지정하여 생성한다. -s 심볼릭 링크파일을 생성한다. -d 디렉토리의 하드링크를 생성한다. root권한으로만 가능하지만 root권한으로 실행하더라도 시스템 권한제한으로 인해 실패할수도 있다. 예시 링크 만들기(하드링크) [root@Linux ~]# echo hello > hello.txt # hello 내용을 가진 hello.txt 파일 생성 [root@Li.. rm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삭제하는 명령어 사용법 rm [옵션] [파일/디렉토리] 옵션 옵션 설명 -r 디렉토리와 하위 파일들을 삭제한다. -f 확인과정 없이 파일을 강제로 삭제한다. -d 디렉토리가 비어있을 때만 삭제한다. -i 삭제할때 삭제 여부를 확인한다. alias에 등록된 rm의 기본값. -v 삭제되는 파일의 정보를 출력한다. 예시 기본 : 파일 하나를 삭제하거나 여러 파일을 동시에 삭제 가능하다. [root@Linux ~]# ls Bye dumpA dumpB dumpB~ Hi tempA tempA- [root@Linux ~]# rm Bye rm: remove regular empty file 'Bye'? y [root@Linux ~]# ls dumpA dumpB dumpB~ Hi tempA tempA.. mv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이동하거나 이름을 변경한다. 사용법 mv [원본 파일/디렉토리] [타겟 파일/디렉토리] 옵션 옵션 설명 -i 이동될 파일이 이미 존재할 경우, 덮어쓰기 여부를 묻는다. alias에 등록된 mv의 기본값. -b 이동될 파일이 이미 존재할 경우, 백업파일을 생성한다. -f 이동될 파일이 이미 존재할 경우, 강제로 덮어쓰기한다. -n 이동될 파일이 이미 존재할 경우, 덮어쓰기를 하지 않는다. -v 이동 진행상황을 출력한다. 예시 기본 : 파일을 이동한다. [root@Linux ~]# echo "Hi" > Hi [root@Linux ~]# echo " Hello" > Hello [root@Linux ~]# ls Hello Hi dump [root@Linux ~]# mv Hi dump/ [ro.. CP 파일 복사하기 사용법 cp [옵션] [원본파일 혹은 디렉토리] [복사할 파일 혹은 디렉토리] 옵션 옵션 설명 -i 복사할 파일이 이미 존재할 경우, 덮어쓰기 여부를 묻는다. alias에 등록된 cp의 기본값. -b 복사할 파일이 이미 존재할 경우, 백업파일을 생성한다. -f 복사할 파일이 이미 존재할 경우, 강제로 기존 파일을 삭제하고 복사한다. -r 하위 디렉토리까지 전부 복사한다. -p 원본파일의 소유자, 그룹, 권한 등의 정보까지 모두 복사한다. -v 복사 진행상황을 출력한다. -n 대상 디렉토리의 기존 파일을 덮어쓰는 것을 방지한다. 대신 대상 디렉토리에 아직 존재하지 않는 파일만 복사한다 예시 기본 : 파일을 복사한다. [root@Linux ~]# touch hello.txt # 실습을 위해 h.. mkdir 디렉토리를 생성하는 명령어 사용법 mkdir [Option] [DirectoryName] 옵션 옵션 설명 -m 디렉토리를 생성할 때 권한을 설정한다. -p 상위 디렉토리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위 디렉토리도 생성한다. -v 디렉토리를 생성하고 생성된 디렉토리에 대한 메시지를 출력한다. 예시 기본 [root@Linux ~]# mkdir start/happy #경로지정 및 디렉토리 생성(happy) [root@Linux ~]# cd start [root@Linux start]# ls happy -m : 디렉토리의 권한을 지정 (default : 755) [root@Linux start]# mkdir -m 640 perm [root@Linux start]# ls -l total 0 drw-r-----. 2 roo.. touch, file touch 파일의 시간을 변경하는 명령어, 일반적으로 빈 파일을 생성할 때 사용 사용법 touch [Option] [FileName] 예시 기본 : 빈 파일을 만든다 [root@rocky1 Documents]# touch NewPad #일반 파일 생성 [root@rocky1 Documents]# touch Pad.txt #텍스트 파일 생성 [root@rocky1 Documents]# ll total 0 -rw-r--r--. 1 root root 0 May 30 12:14 NewPad -rw-r--r--. 1 root root 0 May 30 12:14 Pad.txt file 파일의 타입을 알려주는 명령어 사용법 file [Option] [FileName] 예시 [root@Linux ~]# file ana.. group 1. groupadd 유저그룹을 생성한다. 사용법 groupadd [Option] [GroupName] 옵션 옵션 내용 -g 특정 gid로 그룹을 생성한다. -g : gid 지정 [root@Linux ~]# groupadd webadmin #그룹 생성 [root@Linux ~]# groupadd -g 1050 wasadmin #gid설정 후 그룹 생성 [root@Linux ~]# tail -n 2 /etc/group webadmin:x:1013: wasadmin:x:1050: 2. groupmod 유저그룹의 설정을 바꾼다. 옵션 옵션 내용 -g 기존 그룹의 gid를 변경한다. -n 그룹 네임을 변경한다. 예시 -n : 그룹 이름을 바꿀 때 사용 [root@rocky1 ~]# useradd admin1 #.. 이전 1 ··· 11 12 13 14 15 16 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