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133)
프로세스 제어 하나의 시스템에는 많은 프로세스가 동시에 실행되는데, 이러한 프로세스들은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관리된다. 관련 명령어로는 nice, renice, top 등이있다. /proc 디렉토리 실제 디스크 공간에 존재하지 않고 메모리상에 만들어진 가상파일 시스템이다. 시스템에 동작 중인 프로세스의 상태와 기타시스템 및 하드웨어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주요 프로세스 안의 디렉토리를 살펴보거나 특정 값을 만질때 정도 사용된다. 주요 구성 요소 구성 요소 설명 cmdline 명령행 옵션 정보가 들어있다. cwd 작업 디렉토리를 가리킨다 environ 프로세스의 환경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다 exe 해당 프로세스를 실행시킨 명령어를 가리킨다 fd File descriptor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는 디렉토리이다. map..
nice, renice nice 사용법 nice [-n 조정수치][프로세스] nice [프로세스] 프로세스가 실행될 때, 실행 우선순위를 조정한다. (NI값을 변경시킨킨다.) 시스템 속도를 저하시키기 때문에 다른 프로세스에게 우선순위 값을 주려고 할 때 사용된다. nice 수치가 높을수록 우선순위에서 떨어지며 음수값으로 갈수록 프로세스 점유율이 높다. [일반 유저는 우선순위를 낮추는것만 가능하다.] 예시 nice 값 조절해서 프로세스 만들기 [root@Linux ~]# nice -n 10 sleep 300 & [1] 64051 [root@Linux ~]# ps -o pid,comm,nice 64051 PID COMMAND NI 64051 sleep 10 nice 값 올리기 [root@Linux ~]# ps -o pid,comm..
w w명령어는 현재 장비에 로그인한 사용자의 정보와 그 사용자가 실행시킨 프로세스들의 정보를 조회할 수 있는 명령어이다. 사용법 w [옵션] user [. . . ] w명령어를 사용할 때, 특정 사용자를 지정할 수도 있고 지정하지 않을 수도 있다. 특정 사용자를 지정하면 그 사용자에 대한 정보만 출력된다. 예시 [root@Linux ~]# w 15:22:08 up 5:51, 1 user, load average: 0.00, 0.18, 0.54 USER TTY LOGIN@ IDLE JCPU PCPU WHAT root tty2 09:30 5:51m 0.04s 0.04s /usr/libexec/gnome-session-bina
pgrep 프로세스를 이름 기반으로 검색하는 명령으로 PID값을 출력한다. 옵션을 이용하면 사용자나 그룹명 등으로도 PID 조회가 가능하다. 한번도 실행하지 않은 프로세스는 출력이 되지 않는다. 사용법 pgrep [옵션] [패턴] 옵션 옵션 의미 -u 특정 사용자가 실행시킨 프로세스의 PID를 출력한다. -U 특정 UID를 갖는 사용자가 실행시킨 프로세스의 PID를 출력한다. -g 특정 그룹이 실행시킨 프로세스의 PID를 출력한다. -G 특정 GID를 갖는 그룹이 실행시킨 프로세스의 PID를 출력한다. -t 특정 터미널에 실행 중인 프로세스의 PID를 출력한다. -l PID 이외에 프로세스명도 같이 출력한다. 예시 -u [root@Linux ~]# pgrep -u admin #admin이 실행시킨 프로세스의PID를..
kill 명령어 kill 프로세스에 시그널을 보낼때 사용한다. 사용법 kill [옵션 혹은 시그널] [PID] 옵션 l [시그널] : 사용 가능한 시그널의 종류를 보여준다. 뒤에 [시그널]을 붙이지 않으면 모든 시그널을 출력한다. s [시그널] : 사용할 시그널의 종류를 지정한다. 시그널의 이름 혹은 번호를 기입한다. s를 생략해서 사용할 수 도 있다 kill -SIGKILL . 시그널의 종류 번호 시그널 의 미 1 SIGHUP 터미널에서 접속이 끊겼을때 보내지는 시그널, 변화된 내용을 적용하기 위해 재시작 할 때 사용된다. 2 SIGINT 인터럽트 시그널로 실행을 종료시킴, Ctrl + c 입력시 보내지는 시그널 3 SIGQUIT 실행 종료 시그널로서 Ctrl + \ 입력시 보내지는 시그널 9 SIGKILL 프로세스를..
jobs, bg, fg jobs 백그라운드의 작업들과 상태를 표시하는 명령어다. 사용법 jobs [옵션] 옵션 옵션 의미 -p 백그라운드에 있는 프로세스의 프로세스 아이디(PID)만 출력한다. -l 백그라운드에 있는 프로세스의 프로세스 아이디(PID)를 함께 출력한다. -s 백그라운드에 있는 프로세스 중 멈춰있는 프로세스만 출력한다. -r 백그라운드에 있는 프로세스 중 실행중인 프로세스만 출력한다. jobs로 확인 가능한 세션의 상태값 [root@Linux ~]# sleep 300 #sleep 지정된 시간 동안 호출 프로세스를 일시 중단할 수 있는 명령이다. ^Z #백그라운드로 보내기 위해 컨트롤 + z를 사용 [1]+ Stopped sleep 300 # 일시 중단된 상태로 백그라운드로 넘어감 [root@Linux ~]# jo..
top, htop top명령어는 시스템의 프로세스, 메모리 사용 상태 등을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명령어이다.(윈도우 작업관리자의 프로세스와 비슷한 기능이다.) top - 10:06:19 up 34 min, 1 user, load average: 0.08, 0.05, 0.10 Tasks: 343 total, 1 running, 342 sleeping, 0 stopped, 0 zombie %Cpu(s): 0.1 us, 0.7 sy, 0.0 ni, 98.9 id, 0.0 wa, 0.2 hi, 0.1 si, 0.0 st MiB Mem : 10219.9 total, 7878.3 free, 1580.1 used, 1044.2 buff/cache MiB Swap: 5304.0 total, 5304.0 free, 0.0 used. 863..
ps Process Status의 약어로 사용하면 현재 작동 중인 프로세스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사용법 ps [옵션] 옵션 중 대쉬(-)가 하나인 것은 UNIX계열 옵션, 두 개인 것은 GNU계열 옵션, 대쉬가 없는 것은 BSD계열 옵션으로 구분된다. 서로 호환이 가능하지만, 표기법에 따라 다른 결과가 출력되므로 목적에 맞춰 구분하여 사용해야 한다. 옵션 BSD계열 a : 터미널과 연관된 프로세스를 출력한다 보통 x옵션과 사용되며 모든 프로세스를 출력한다. x : 터미널에 종속되지 않은 프로세스를 출력한다. u : 프로세스의 소유자를 기준으로 출력한다. ax만으로는 USER기준의 정보가 출력되지 않아 주로 aux로 사용한다.) l : 프로세스의 정보를 길게 출력해서 우선순위 관련된 값을 확인 가능 e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