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33) 썸네일형 리스트형 로그 로테이트 (logrotate) 1. 로그 로테이트 (logrotate) 로그 파일은 계속해서 덧붙여지면서 쌓이는 형태이기에 파일에 크기가 계속 커지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로그 파일을 여러 개로 분할 해주는 프로그램이다. 기능으로는 자동 로테이트, 압축, 제거 등을 지원한다 로그를 설정하는 곳은 /etc/logrorate.conf/에서 제어하고 응용프로그램은 /etc/logrotate.d 디렉터리 내에 위치하여 로그 파일을 관리하고 있다. 구버전에서는 cron에 의해 관리되었으나 현재는 timer에 의해 실행된다. 사용법 logrotate [option] config_file 주요 옵션 옵션 설명 -f 강제로 환경 설정 파일을 읽어 들여서 실행한다 (--force) 2. etc/logrotate.conf nomissingok 로.. log 1. log 시스템에서 일어나는 모든 사건이나 이벤트 등은 각 서비스별로 기록된다. 이러한 기록을 log라 부른다. 로그 분석은 시스템 관리 및 보안에 상당히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log 주요 파일 파일명 설명 /var/log/messages 표준 메시지가 기록되는 파일로 로그의 대부분이 이 파일에 쌓인다. root사용자만이 읽을 수 있다. /var/log/secure 로그인 인증, 접속정보가 기록되는 파일 /var/log/dmesg 시스템이 부팅할 때 출력되는 로그가 기록되는 파일 /var/log/boot.log 시스템 부팅시 데몬들이 실행되며 기록되는 파일 /var/log/lastlog telnet이나 ssh를 이용해서 접속한 사용자의 마지막 정보가 기록되는 파일 2. rsyslog rsyslog.. iso mount 보조기억장치(HDD, FDD, CD-ROM 등)나 파일 시스템이 다른 디스크를 (/root 디렉토리)의 하위 디렉토리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명령 특정 옵션없이 mount를 사용하면 현재 마운트된 장치나 디스크를 확인할 수 있다. 사용법 mount [option] [device] [directory] 옵션 옵션 설명 -a /etc/fstab에 명시된 파일 시스템을 마운트할 때 쓰이는 옵션이다 -t fs_type 파일 시스템의 유형을 지정하는 옵션으로 지정하지않으면 /etc/fstab 파일을 참조한다. -o 항목 마운트할 때 추가적인 설정을 적용할때 사용하는 옵션으로 다수의 조건을 적용할 때는 콤마(,)로 구분 하면 된다. 1. iso 마운트 및 repository 등록 vm웨어 설정에서 iso.. VM으로 repository 서버 구축 vmware 브릿지 설정하기 vm웨어 설정 네트워크 브릿지로 설정 리눅스 설정 네트워크 껐다 켜기 정상적으로 설정되었는지 확인 [root@rocky1 ~]# ip a 1: lo: mtu 65536 qdisc noqueue state UNKNOWN group default qlen 1000 link/loopback 00:00:00:00:00:00 brd 00:00:00:00:00:00 inet 127.0.0.1/8 scope host lo valid_lft forever preferred_lft forever inet6 ::1/128 scope host valid_lft forever preferred_lft forever 2: ens160: mtu 1500 qdisc mq state UP group de.. repository 소프트웨어 패키지 및 관련 메타데이터가 저장되고 시스템에서 설치 또는 업그레이드에 사용할 수 있는 중앙 집중식 위치를 나타낸다다. 저장소의 실질적 위치 [root@rocky1 ~]# cd /etc/yum.repos.d/ #repo파일이 실행되는 위치로 디렉토리 이동 [root@rocky1 yum.repos.d]# ls epel.repo epel-testing.repo rocky-addons.repo rocky-devel.repo rocky-extras.repo rocky.repo #repo라는 확장자를 인식한다. 1. repository를 구성하는 중요 요소 [baseos] name=Rocky Linux $releasever - BaseOS mirrorlist=https://mirrors.rockylin.. yum, dnf 1. yum rpm 기반의 시스템에서 패키지를 손쉽게 설치해주고 자동으로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명령행 기반의 유틸리티이다. 하지만 최근 RHEL 8 버전부터는 새로운 패키지 관리 도구인 dnf(Dandified Yum)가 등장하면서 대체되었지만, dnf 명령의 심볼릭 링크 파일로 제공되면서 명령어 사용을 지원한다. 사용법 yum [option] [command] [패키지_파일명] 옵션 옵션 설명 -y 모든 질의에 yes로 자동 대답 -v 자세한 정보 출력 2. dnf (Dandified Yum) rpm기반의 패키지 관리 도구로 yum을 대체하기 위해 등장했다. 명령어 사용법은 yum과 유사하다. 사용법 dnf [옵션] [명령어] [패키지_파일명] 옵션 옵션 설명 -y 모든 질의에 ‘yes’라고 답한다. -.. rpm(Red Hat Package Manager) red hat 계열의 리눅스 배포판에서 사용되는 소프트웨어 패키지 관리 시스템이다. 사용법 rpm 명령의 사용법은 설치 및 갱신, 제거, 질의, 검증, 소스 rpm의 리빌드 모드의 5가지로 나눌수 있다. rpm [option] [패키지_파일명] 옵션 명령어 용도 (long 명령어) -q 패키지 정보 질의 (--query) -i 패키지 설치(--install) 이미 설치가 되어있어도 다시 설치한다. -U 패키지 업그레이드(--upgrade) -e 패키지 삭제(--erase) -V 패키지 검증(--verify) -K 서명 검증(--checksig) --import 공개키를 RPM키링으로 가져오기위해 사용 질의(query) 모드 옵션 설명 -q 질의 시에 꼭 사용해야 하는 옵션이다. 패키지를 찾으면 이름과 버.. tar tar은 여러 개의 파일을 하나의 파일로 묶거나 풀 때 사용하는 명령이다. "테이프 아카이버(Tape ARchiver)"의 앞글자들을 따서 "tar"이라는 이름으로 불립니다. 아카이빙(archiving)과 압축(Compress)의 차이 아카이빙(archiving) : 파일이나 폴더를 하나로 묶는 행위 -> 용량을 줄어들지 않는다 주로 tar,cpio가 쓰인다. 압축(compress) : 파일이나 아카이브기기 디스크에서 차지하는 용량을 줄여주는 소프트웨어 도구이다 주로 gzip,bzip2,xz가 사용된다. 사용법 tar [옵션] [파일 또는 디렉토리] 옵션 옵션 설명 -c 지정한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하나로 묶어 새로운 tar 파일을 생성한다. (--create) -x 생성된 tar 파일을 푼다.(--ext.. 이전 1 ··· 6 7 8 9 10 11 12 ··· 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