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133)
mount mount 외부 장치와 리눅스에 특정 디렉토리를 연결하는 것 1. 사용법 mount -t [파일 시스템] [디바이스명] [디렉토리] 2. 옵션 옵션 내 용 -a /etc/fstab에 지정한 모든 파일 시스템을 마운트 한다. -f 실제 시스템 호출은 하지 않고 마운트 할 수 있는지 점검한다. -r 파일을 읽기 전용으로 마운트 한다. -w 파일 시스템을 읽기/쓰기 형식으로 마운트 한다. -t 마운트 할 파티션의 파일 시스템 형식을 지정한다. -t 옵션이 주어지지 않고 auto 타입이 지정되면 mount가 요구되는 파일 시스템을 추측하여 마운트한다.) 3. 사용 예시 [root@localhost mnt]# mount /dev/nvme0n2p1 /mnt/data [root@localhost mnt]# cd /m..
mkfs mkfs 파티션 분할작업후 포맷을 할때 사용하는 명령어. 옵션 옵션 설명 -t fs_type 파일 시스템의 유형을 지정 mkfs.fs_type으로 가능 -c 배드 블록 체크후 파일 시스템 구축 [root@localhost ~]# mkfs.xfs /dev/nvme0n2p1 # xfs로 포맷 meta-data=/dev/nvme0n2p1 isize=512 agcount=4, agsize=655296 blks = sectsz=512 attr=2, projid32bit=1 = crc=1 finobt=1, sparse=1, rmapbt=0 = reflink=1 bigtime=1 inobtcount=1 data = bsize=4096 blocks=2621184, imaxpct=25 = sunit=0 swidth=0 ..
parted parted 파티션을 분할하거나 조작하는 명령어. 대화형으로 사용하거나 명령어로 바로 사용 가능하다. 사용 예시 parted명령어 사용(대화형) [root@rocky1 /]# parted /dev/sda GNU Parted 3.5 Using /dev/sda Welcome to GNU Parted! Type 'help' to view a list of commands. (parted) 라벨 지정 (parted) mklabel New disk label type? gpt # gpt방식으로 생성 Warning: The existing disk label on /dev/sda will be destroyed and all data on this disk will be lost. Do you want to con..
gdisk gdisk fdisk와 같은 유틸리티로 fdisk는 MBR타입, gdisk는 GPT타입으로 파티션에 사용된다. fdisk가 2TB 미만의 Disk 파티션닝을 한다면 2TB이상 대용량에서 gdisk 또는 parted로 구성한다. 1. 파티션 나누기 gdisk로 nvme0n2 파티션 생성 [root@rocky1 ~]# gdisk /dev/nvme0n2 GPT fdisk (gdisk) version 1.0.7 Partition table scan: MBR: not present #마스터부트레코드 부팅지원파티션, 파티션을15개까지밖에지원안됨 BSD: not present APM: not present GPT: not present #최대 128개의 파티션을 지원함 (한파티션의 용량제한이없음) Creating n..
blkid, lsblk blkid block device 의 파일 시스템(file system) 유형이나 속성(LABEL, UUID 등) 을 출력하는 유틸리티이다. 1. 옵션 옵션 설명 -o 출력 포맷을 지정하여 찾을 때 사용 -L 라벨 명으로 블록 장치를 찾을 때 사용 -U UUID로 블록 장치를 찾을 때 사용 2. 사용 예시 아무 옵션 없을 사용 하면 kernel 이 인식한 모든 블록 디바이스의 정보를 출력한다 [root@localhost dev]# blkid /dev/mapper/almalinux-root: UUID="80f93824-6b2a-4029-b41e-7abd316972f5" TYPE="xfs" /dev/nvme0n1p2: UUID="cUq5B0-tP0K-fl4r-vBIj-Q9MN-7Jrd-z4Njhv" TYPE..
파일시스템 파일 시스템 운영체제가 파티션이나 디스크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읽고 쓰고 찾기 위해 구성하는 일련의 체제를 의미하는데 운영체제가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가장 직접적인 서비스 형태 중에 하나이다 1. 포맷 운영체제를 설치하면 가장 먼저하는 하는 행위로 파일을 저장하기 위해 디스크를 일정한 크기로 분할하고 주소를 설정하는 작업이다. 각각의 운영체제들은 포맷이라는 작업을 통해 유한 파일 시스템을 구축을 하고 다양한 규칙을 설정한다 2. 파일 시스템의 기능 사용자가 파일을 생성(create), 생성(Modify), 삭제(Delete)할 수 있도록 제공 사용자가 파일을 사용하기 적합한 형태의 구조로 구성하고, 다양한 추가 정보 제공 다른 사용자와의 파일을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적절한 제어 방법 제공 정보 손실이나 ..
스토리지 스토리지 스토리지는 데이터, 파일 또는 정보를 디지털 형식으로 저장하고 보존하는데 사용되는 기술 및 인프라를 의미한다. 여기에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데이터를 보존하고 검색할 수 있는 장치, 시스템 및 프로세스가 포함된다. HDD 종류 설명 IDE 드라이브의 논리 컨트롤러를 하드디스크 자체에 통합시킴으로써 대중화된 최초의 드라이브 S-ATA S - ATA는 Serial ATA 약자이며, IDE 방식(P - ATA)의 한계를 넘기위해 개발된 직렬 방식으로 40핀의 회선수를 4개의 회선으로 줄였으며, 에러율이 적고 초당 150MB/s ~ 600MB/s 빠른 전송 속도와 핫플러그가 지원된다. SCSI 컴퓨터에 주변기기를 접속하기 위한 직렬 표준 인터페이스로 장치를 연결하고 분리할때 편리하다. 여러개의 하드디스크..
journalctl journalctl systemd-journald에 의해 생성된 관련 정보를 질의할 때 사용하는 명령이다. 사용법 journalctl [옵션] [항목] 주요 옵션 옵션 설명 -l, --full 출력 가능한 모든 필드의 정보를 출력한다. -r, --reverse 역순으로 출력해주는 옵션으로 가장 최근 정보부터 출력한다. -p, --priority syslog에 사용하는 로그 레벨을 지정하는 옵션이다. 로그 레벨명이나 숫자값을 적으면 되고, 지정한 레벨 이상의 정보를 출력한다. --since 특정 날짜 이후의 정보만 출력한다.”YYYY-MM-DD hh:mm:ss” 형식으로 지정한다. --until 특정 날짜까지의 정보만 출력한다.”YYYY-MM-DD hh:mm:ss” 형식으로 지정한다. -b 마지막 부팅 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