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눅스-기초명령어/스토리지

파일시스템

파일 시스템

운영체제가 파티션이나 디스크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읽고 쓰고 찾기 위해 구성하는 일련의 체제를 의미하는데 운영체제가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가장 직접적인 서비스 형태 중에 하나이다

 

1. 포맷

운영체제를 설치하면 가장 먼저하는 하는 행위로 파일을 저장하기 위해 디스크를 일정한 크기로 분할하고 주소를 설정하는 작업이다. 각각의 운영체제들은 포맷이라는 작업을 통해 유한 파일 시스템을 구축을 하고 다양한 규칙을 설정한다

 

2. 파일 시스템의 기능

  • 사용자가 파일을 생성(create), 생성(Modify), 삭제(Delete)할 수 있도록 제공
  • 사용자가 파일을 사용하기 적합한 형태의 구조로 구성하고, 다양한 추가 정보 제공
  • 다른 사용자와의 파일을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적절한 제어 방법 제공
  • 정보 손실이나 파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백업이나 복구를 위한 기능 준비
  • 사용자와 장치 간의 독립성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자가 물리적인 장치 이름 대신에 적절한 이름 제공
  • 정보가 안전하게 보호되고 비밀이 보장될 수 있도록 정보의 암호화 및 복호화 기능 제공
  • 사용자가 파일이나 디렉토리에 접근하기 쉬운 인터페이스 및 명령어 제공

3. 파일 시스템 종류

파일 시스템 특징
ext4 - 1 EB(엑사바이트) 이상의 볼륨을 지원한다.
- 1개의 파일의 최대 크기는 16TB까지 지원한다.
- 파일 시스템의 축소와 확장이 자유롭다.
- 서브 디렉토리 수는 64000개까지 지원한다.
- 온라인 디스크 조각모음 기능이 추가되었다
XFS - Extent 기반이 완전히 탄탄해진 상태로 고성능 대용량 파일 시스템에 가장 적합하다.
- RHEL 7부터는 Default 파일 시스템으로 지정되어 있다.
- EXT4가 가지고 있는 거의 모든 기능이 지원된다.된
- XFS는 증설은 가능하지만 축소가 불가능한다.
- 최대 용량은 8EB까지 지원한다.
ZFS 데이터 무결성 검사, 스냅샷, Copy-On-Write 및 내장형 RAID 지원과 같은 고급 기능을 제공
iso9660 CD-ROM의 표준 파일 시스템
nfs - 동일 OS간 RPC를 기반으로 파일 공유시 사용 권장
- 파일 공유 및 파일 서버로 사용하고, 
공유된 영역을 마운트할 때 지정
- HW, OS 또는 네트워크 구조가 달라도 공유 가능
- NFS 서버의 특정 디렉토리를 마운트하여 사용 가능



4. VM 가상 드라이브 추가

 

원하는 가상머신의 설정에 들어가 Add 클릭

 

 

하드디스크 추가, NVMe 선택(디스크를 추가할 가상머신이 종료되어 있어야 함)

 

새 가상디스크 생성, 생성할 용량과 원하는 이름 설정 후 Finish 클릭

 

방금 추가한 하드디스크(Hard Disk 2 (NVMe))가 추가되어있는 것을 확인

 

'리눅스-기초명령어 > 스토리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mkfs  (0) 2023.09.01
parted  (0) 2023.09.01
gdisk  (0) 2023.09.01
blkid, lsblk  (0) 2023.09.01
스토리지  (0) 2023.0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