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ho
화면에 텍스트나 문자열을 출력하는데 사용된다.
입력된 내용을 터미널에 출력해준다.
[root@Linux ~]# echo "hi" hi |
내용을 파일로도 저장 가능
[root@Linux ~]# echo "hi" > hi.txt [root@Linux ~]# cat hi.txt hi |
현재 적용중인 쉘 확인하기
[root@Linux ~]# echo $SHELL /bin/bash |
cat
문서의 내용이나 텍스트 파일의 내용을 출력시켜준다.
사용법
cat [옵션] |
예시
[root@Linux ~]# echo 'hi' > hi.txt [root@Linux ~]# cat hi.txt hi |
cat “파일명” “파일명” : 여러개의 파일을 동시에 보기.
[root@Linux ~]# echo ‘hi’ > hi.txt [root@Linux ~]# echo ‘hello’ > hello.txt [root@Linux ~]# cat hi.txt hello.txt hi hello |
-n : 줄 번호 생성
[root@Linux ~]# cat -n hi.txt hello.txt 1 hi 2 hello |
* cat은 파일 내용을 한번에 출력하기 때문에 문서의 내용이 많을 경우 제대로 확인 할 수 없다. 이럴 경우 vi나 tail 등의 명령어를 사용해서 읽어야 한다.
head
파일에 앞부분을 확인하는 명령어이다.
문서(텍스트 파일)의 앞에서부터 지정한 줄 출력(설정하지 않으면 10줄 출력)
[root@Linux ~]# head /etc/passwd root:x:0:0:root:/root:/bin/zsh bin:x:1:1:bin:/bin:/sbin/nologin daemon:x:2:2:daemon:/sbin:/sbin/nologin adm:x:3:4:adm:/var/adm:/sbin/nologin lp:x:4:7:lp:/var/spool/lpd:/sbin/nologin sync:x:5:0:sync:/sbin:/bin/sync shutdown:x:6:0:shutdown:/sbin:/sbin/shutdown halt:x:7:0:halt:/sbin:/sbin/halt mail:x:8:12:mail:/var/spool/mail:/sbin/nologin operator:x:11:0:operator:/root:/sbin/nologin |
n 옵션을 통해 출력되는 줄 수를 조절할 수 있다.
[root@Linux ~]# head -n 3 /etc/passwd root:x:0:0:root:/root:/bin/zsh bin:x:1:1:bin:/bin:/sbin/nologin daemon:x:2:2:daemon:/sbin:/sbin/nologin |
tail
문서의 뒤에서부터 지정한 줄 출력(설정하지 않으면 10줄 출력)
[root@Linux ~]# tail /etc/passwd setroubleshoot:x:989:984:SELinux troubleshoot server:/var/lib/setroubleshoot:/sbin/nologin clevis:x:988:983:Clevis Decryption Framework unprivileged user:/var/cache/clevis:/usr/sbin/nologin gdm:x:42:42::/var/lib/gdm:/sbin/nologin gnome-initial-setup:x:987:982::/run/gnome-initial-setup/:/sbin/nologin sshd:x:74:74:Privilege-separated SSH:/usr/share/empty.sshd:/sbin/nologin chrony:x:986:981::/var/lib/chrony:/sbin/nologin dnsmasq:x:985:980:Dnsmasq DHCP and DNS server:/var/lib/dnsmasq:/sbin/nologin tcpdump:x:72:72::/:/sbin/nologin systemd-oom:x:978:978:systemd Userspace OOM Killer:/:/usr/sbin/nologin admin:x:1000:1000:admin:/home/admin:/bin/zsh |
-n 옵션을 사용해 출력되는 줄수를 조절할 수 있다.
[root@Linux ~]# tail -n 3 /etc/passwd tcpdump:x:72:72::/:/sbin/nologin systemd-oom:x:978:978:systemd Userspace OOM Killer:/:/usr/sbin/nologin admin:x:1000:1000:admin:/home/admin:/bin/zsh |
'리눅스-기초명령어 > 문서 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규표현식 (2) | 2023.08.31 |
---|---|
vi(vim) (0) | 2023.08.31 |
EOF, --stdin (0) | 2023.08.31 |
리 다이렉션 & 파이프 (0) | 2023.08.31 |
텍스트 파일 관련 명령어 wc(word count) (0) | 2023.05.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