텍스트 에디터로서 vim은 vi를 업그레이드한 모드이다.
vi로 입력해도 vim으로 작동이 된다.
기본적으로 방향키로 커서 이동
k, j, h, l - 상, 하, 좌 우 로 대체될 수 있다.
VI 단축키
- i : insert 모드
- I : 현재 커서 맨 앞으로 이동 후 insert 모드
- a : 커서 한칸 뒤로 이동하여 현재 커서 앞으로 내용이 적을수 있다 (insert)
- A : 줄 맨 뒤로 이동후 insert모드
- o : 한칸 아래에서 글을 쓰기 시작할 수 있다(insert)
- O : 그 윗줄로 올라가서 글을 작성할 수 있다 (현재 줄을 전체 한칸 내리게된다.) (insert)
- w : 워드 첫 글자 기준으로 화살표 이동시 이동된다.
- W : 공백기준으로 첫글자에서 이동된다.
- b : 뒤에서 부터 단어의 첫 글자로 이동된다.
- B : 뒤에서 부터 공백기준 첫 글자로 이동된다.
- G : 문서 맨 밑으로 이동시킨다.
- gg : 문서 맨 앞으로 이동시킨다.
- ^ (home) : 커서가 위치한 줄의 맨 앞으로 이동한다.
- $ (end) : 커서가 위치한 줄의 맨 뒤로 이동한다.
- / : 뒤에 문장을 검색 검색한 단어를 n(next)을 눌러 다음으로 이동 N을 눌러 이전으로 이동
- yy : 로 현재 줄 복사
- p : 현재 줄에 복사한 문서 붙여넣기
- dd : 현재 줄 잘라내기
- u(undo) : 실행취소
- ctrl+r : 다시실행
쉬프트 + ; 입력 후
- :w (wright) 저장하기
- :q 나가기 (수정 내역이 있다면 저장 경고창이 나온다.)
- :q! 저장 하지않고 나가기
- :wq 저장하고 나가기
- :숫자 문서의 입력한 줄로 이동한다.
- :nohl (no highlight) 하이라이트 숨기기
- :set cuc 커서가 위치한 열을 보여준다.
- :set nocuc :set cuc를 취소한다.
- :set nu(=set number) 순서를 나타낸다.
- :set nonu nu의 사용을 멈춘다.
- :new 가로로 분할된 새로운 창을 만든다.
- ctrl cc 가로
- :sp 가로로 분할된 새로운 창을 만듭니다.
- :vs 세로로 분할된 새로운 창을 만듭니다.
- ctrl+ww 로 분할된 창 이동
vi 비주얼모드
뷰어 모드에서 v를 입력하면 진입 가능하다.
방향키로 선택 가능
shift+v 한 줄씩 선택 가능하다.
ctrl+v 블록 단위로 문자 선택 가능하다. (주석 모두 삭제가능)
전체 주석 처리 방법
- VISUAL BLOCK으로 원하는 부분을 선택
- shift+i를 누르면 커서가 첫번째 줄로 이동하며 INSERT MODE가 된다
- 주석(#)입력 후 esc를 누르면 원하는 부분에 전체 주석처리가 된다
- delete : 삭제
- shift+~ 선택된 내용의 대문자 소문자가 반전된다.
- page up 키 한 페이지씩 위로 움직인다. Ctrl+b도 똑같은 기능을 한다
- page down 키 한 페이지씩 아래로 움직인다. Ctrl+f도 똑같은 기능을 한다.
- Ctrl+u 페이지 절반만큼 위로 움직인다.
- Ctrl+d 페이지 절반만큼 아래로 움직인다.
'리눅스-기초명령어 > 문서 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규표현식 (2) | 2023.08.31 |
---|---|
EOF, --stdin (0) | 2023.08.31 |
리 다이렉션 & 파이프 (0) | 2023.08.31 |
echo, cat, head, tail (1) | 2023.08.31 |
텍스트 파일 관련 명령어 wc(word count) (0) | 2023.05.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