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33) 썸네일형 리스트형 USER 1. useradd 계정을 새로 생성 사용법 useradd [Option] [Name] 옵션 옵션 내용 -p 사용자의 암호를 추가할때 -d 홈 디렉토리 지정 -g 그룹 지정 -G 기본 그룹을 이외의 추가로 그룹에 속하게 할 경우 -c 사용자 생성시 코멘트 설정 -s 사용자 생성이 Shell 지정 -m 홈 디렉토리 생성 -u UID값 지정 예시 useradd : 유저 생성 [root@Linux ~]# useradd harry -c : 사용자의 Full name 같은 사용자의 설명을 추가한다 [root@Linux ~]# useradd -c "He is a friend of Harry's" rone [root@Linux ~]# vi /etc/passwd # /etc/passwd 확인 ... rone:x:100.. chage 사용자 계정 패스워드 관리 사용법 chage [Option] [User] 옵션 옵션 내용 -h 도움말 -d 패스워드가 변경된 날짜를 수동으로 설정 -E 사용자 계정 만료일 설정 -I 계정 만료 후 패스워드 비활성화 유예기간 설정 -l 패스워드 만료 정보를 보여준다 -m 패스워드 변경의 최소 날 일수 지정 -M 패스워드 변경 없이 사용 가능한 최대 날 일수 지정 -W 패스워드 만료일에 대한 경고 날짜 예시 -l : 패스워드 정보를 볼 수 있다. [root@Linux /]# chage -l admin #admin 정보 확인 Last password change : Apr 29, 2023 Password expires : never Password inactive : never Account expires :.. /etc/shadow shadow파일에서 root 패스워드에 대한 정보를 볼 수 있다. [root@Linux ~]# vi /etc/shadow # vi 편집창 ... root:$6$8vztKCHBDsh2Tv4L$1UGtoX3z.n/K0eAEXmjvgp42/n/TS1lpc/FxyDM6A5m6Lgtoe.gYeUZGl55mGqkTPARpRVFxa8/5CHcGwdnst0::0:99999:7::: admin:$6$NvEuZC0OIQd87vK5$wlmnYD7KC2Wm8m1pky88io/5msH6cxmVqzkAv.pyS6powGX9p0IpUStLNoO4ySJPvZpm1WLqd9ZJMO0W1.MXZ0:19471:0:99999:7::: # : 을 기준으로 정보의 항목이 나뉘어있다. 각 항목의 구분 root :$6 $8vztKCHBDsh2Tv.. id 시스템에 등록된 아이디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명령이다. 사용법 id [Option] [User] 옵션 옵션 설명 -a 다른 버전들과 호환성을 맞추기 위해서 존재하는 옵션 -Z 현재 사용자의 보안관련 내용만 출력 -g effective group ID만 출력 -G 모든 group ID 들을 출력 -n -ugG옵션과 함께 사용되어 사용자 번호 대신 이름을 출력 -r -ugG옵션과 함께 사용되어 effective ID 대신 real ID 출력 -u effective user ID 만 출력 -z 항목을 공백이 아닌 NULL문자로 구분, 기본형식으로 허용되지 않음 예시 user를 입력하지 않으면 현재 사용자의 정보를 출력해준다. [admin@Linux ~]$ id uid=1000(admin) gid=1000(a.. sudo(superuser do) 특정 사용자 또는 특정 그룹에 root 사용자 권한을 가질 수 있도록 해주는 도구이다. 사용법 sudo [Command] 계정변환 옵션 옵션 설명 -i(--login) root 환경변수를 사용 -s(--shell) 기존 환경변수를 유지 예시 i, s 옵션을 사용하여 sudo 명령도 su처럼 root 계정으로 전환이 가능하다. -s : 현재 환경변수를 유지 [root@Linux ~]# su - admin [admin@Linux ~]$ sudo -s SUDO_USER=admin PWD=/home/admin -i : root환경변수를 사용 [root@Linux ~]# su - admin [admin@Linux ~]$ sudo -i SUDO_USER=admin PWD=/root sudo su : root의 암호.. SU(substitute user) 시스템에 로그인된 상태에서 다른 사용자의 권한으로 셸(shell)을 실행할 수 있도록 전환하는 명령이다. 사용법 su [Option] [User] (사용자 명)을 입력하지 않으면 root로 전환을 의미한다. 예시 su - [user] : 사용자로 전환한다. [root@Linux ~]# su - admin #root 사용자는 다른 사용자로 전환 시 패스워드를 묻지 않는다. [admin@Linux ~]$ exit : 계정 로그아웃 [admin@Linux root]$ exit exit [root@Linux ~]# #다른 사용자로 전환한 후에 원래 사용자로 돌아가려면 exit 명령어를 입력하면 된다. su - admin 와 su admin 의 차이점 su - admin [root@Linux ~]# su - ad.. cd (Change Directory) 디렉토리를 이동한다. 사용법 cd [option] [Directory] 옵션 옵션 설명 .. 상위 디렉토리로 이동 . 이전에 위치했던 디렉토리로 이동 - 이전에 위치했던 폴더로 이동 / root 디렉토리로 이동 ~ 홈 디렉토리로 이동 예시 cd : 절대경로 혹은 상대경로를 사용하여 이동 [root@Linux ~]# pwd /root #현재위치 [root@Linux ~]# cd /etc #절대경로 입력 [root@Linux etc]# pwd /etc [root@Linux /]# cd root #상대경로 입력 (현 위치에 존재하는 디렉토리로만 이동 가능) [root@Linux ~]# pwd /root cd .. : 상위 디렉토리로 이동 [root@Linux ~]# pwd /root #현재위치 [root@Li.. man (manual) 명령어의 옵션 리스트와 상세내용을 불러온다. 매뉴얼 섹션 section 설명 man1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쉘 명령어 man2 시스템 호출 man3 라이브러리 호출 man4 special File(장치 드라이브, 장치 등등) man5 파일 포맷과 컨벤션 man6 게임 및 화면보호기 man7 Miscellanea(리눅스 시스템 파일관련 표준,규칙, 프로토콜 시그널 목록 등) man8 시스템 관리자를 위한 명령어 man9 리눅스 커널 루틴 사용법 man [option] [section] command 예시 [root@Linux man]# man 5 passwd 패스워드 매뉴얼, 5번 섹션 열기 이전 1 ··· 12 13 14 15 16 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