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133)
dd(data dumper) 백업 을하기위한 유틸리티 명령어였지만 백업하는데 쓰이지 않고 임의의 용량의 파일을 만드는 데 쓰인다. [root@rocky2 ~]# dd if=/dev/zero of=/tmp/test.iso bs=1024 count=8388608 # tmp/test.iso 파일을 1024바이트씩 데이터를 써서 8388608번 읽어서 만들어 낸다. (임의의 8기가 파일을 만들때 사용한다.) 8388608+0 records in 8388608+0 records out 8589934592 bytes (8.6 GB, 8.0 GiB) copied, 52.2595 s, 164 MB/s */dev/zero는 읽기를 위해 가능한 많은 널 문자(ASCII NULL, 0x00)를 제공하는 유닉스 계열 운영 체제의 특수 파일이다.일반적인 ..
SCP (Secure Copy) 1. SCP (Secure Copy) ssh 원격 접속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원격지에 있는 파일과 디렉터리를 보내거나 가져올 때 사용하는 파일 전송 프로토콜이다. 사용법 scp [옵션] [원격이나 로컬에서 복사할 파일] [원격지_id]@[원격지_ip]:[받는 위치] 옵션 옵션 설명 -r 디렉토리의 내용물까지 복사 -v 과정을 자세히 보여준다 happy.txt 보내기 [root@rocky1 ~]# scp happy.txt rocky2:/tmp #rocky2의 tmp디렉토리에 보내기 root@rocky2's password: happy.txt 100% 0 0.0KB/s 00:00 [root@rocky1 ~]# ssh rocky2 ls -l /tmp/happy.txt # 확인 root@rocky2's passw..
SSH Key 서버에 접속할 때 비밀번호 대신 키를 이용하여 접속한다. SSH Key는 공개키(Public key)와 비공개키(Private key)의 쌍으로 이루어지며 서버에는 공개키가 저장된다. ssh로 원격으로 로그인을 할 때 ssh 클라이언트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비공개키를 원격 서버로 전송을 하고 비공개키를 받은 서버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공개키 중에 비공개 키와 대응이 되는 것을 찾는다. 이 과정이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과정을 대신한다. 1. ssh-keygen ssh key를 생성하는 명령어 기본값은 rsa방식으로 키를 생성한다. 옵션 옵션 설명 -t 암호화 방식을 지정 할 수있다. -f 생성할 키의 이름을 정할 수 있다. -c 공개키 파일에 주석을 추가한다. 사용방법 [admin@rocky1 ~]# ssh..
SSH(Secure Shell) : 시큐어 셸 기존 Telnet, Rlogin, RSH를 대체하기 위해 만들어졌으며 네트워크 상의 다른 PC나 서버에 로그인, 원격 명령 실행, 파일 전송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토콜이다. 기존의 원격 접속 프로토콜인 Telnet, Rlogin, RSH는 데이터 전송 시 평문으로 전송되기 때문에 스니핑을 통해 데이터가 노출되기 쉬운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SSH 프로토콜은 안전한 원격 접속과 보호되지 않은 네트워크에서 안전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암호화를 사용한다. 암호화를 통해 호스트(클라이언트)와 원격지(서버) 간의 연결(사용자 인증, 명령, 파일 전송)을 네트워크 공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1.1. SSH 작동 원리 SSH 프로토콜은 클라이언트-서버 모델로 동작하며 대칭키 방식, 비대칭키 방식, 해시..
hostnamectl 호스트명을 확인하거나 설정하는 리눅스 명령어 사용법 hostnamectl [옵션] [명령어] 주요 옵션 옵션 설명 status 상태를 확인 할 수 있다. set-hostname 호스트 네임을 설정한다. set-hostname icon-name 호스트의 아이콘 네임을 설정한다. 상태확인 [root@rocky1 ~]# hostnamectl #생략가능 Static hostname: rocky1 Icon name: computer-vm Chassis: vm 🖴 Machine ID: 0562007f12484ae5944296a532b82f46 Boot ID: d3f34569d2ca4805b1ee102180cce321 Virtualization: vmware Operating System: Rocky Linux 9...
NTP(Network Time Protocol) 시스템 시계를 원격 NTP 서버 또는 피어와 동기화하는 데 사용을 한다. 1. chronyc 명령행에서 사용되는 chrony 데몬의 정보 확인 및 변경하는 명령어이다. 사용법 chronyc [option] [command] 주요 옵션 옵션 설명 -v chronyc(chrony) 버전 정보 출력(이옵션은 명령어 없이 단독으로 사용된다) 주요 명령 명령 설명 sources chronyd 데몬이 접근하는 서버들에 대한 정보를 출력한다 이 명령어 뒤에 -v옵션을 사용하면 필드에 대한 설명을 볼 수 있다. tracking 시간을 받아오는 서버에 대한 다양한 파라미터 정보를 출력한다. chronyd는 시간 동기화에 대한 NTP(Network Time Protocol)를 사용하며, 인터넷에서 공개적으로 사용 가능한 ..
timedate 1. date 시스템 날짜와 시간을 출력하거나 설정한다 사용법 date [옵션] [포맷] [날짜] 포맷 +%d : 날짜를 출력 [root@Linux ~]# date +%d 24 +%x : 년도 월 일 을 출력 [root@Linux ~]# date +%x 04/24/2023 +%R : 시간을 출력 [root@Linux ~]# date +%R 17:20 옵션 기본 : 기본 날짜를 출력 [root@Linux ~]# date Mon Apr 24 05:19:44 PM KST 2023 d(date) : 지정한 날짜를 출력 [root@Linux ~]# date -d 2023/03/21 Tue Mar 21 12:00:00 AM KST 2023 I(iso-8601) : ISO-8601형식으로 출력 [root@Linux ..
ACL (Access Control List) *활용도는 높으나 실제로 실무에서는 제한되어 사용됨 접근제어 목록의 약자이며 user,group,orher 영역의 권한을 부여할수 있게 만들어준다. 일반적으로 어떠한 파일에 특정 사용자나 그룹에 권한을 부여하려면 소유권한을 넘기고 다시 허가권을 부여하는 절차가 필요한데 이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것이 ACL이다. 1. getfacl 파일이나 디렉토리에 설정된 접근권한 리스트를 확인하는 명령 사용법 getfacl [옵션] 파일명 [root@Linux ~]# getfacl /etc/passwd getfacl: Removing leading '/' from absolute path names # file: etc/passwd d # owner: root # group: root user::rw- gro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