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눅스-기초명령어/파일 및 유저 권한

umask

자동으로 부여되는 허가권의 디폴트값 변경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생성할 때 자동으로 기본 허가권이 부여되는데 그 기본 허가권을 변경하여 새로 만들어지는 파일이나 디렉토리에 자동으로 수정된 권한을 부여한다.

 

부여되는 권한 = 기본 허가권 - umask값

리눅스의 기본 허가권

 

  • 파일 : 666 
  • 디렉토리 : 777

 

umask 확인하는 방법

[root@Linux test]# umask
0022

 

umask 변경하는 방법

[root@Linux test]# umask 077
[root@Linux test]# umask
0077

 

사용 예시

[root@Linux test]# umask 077
[root@Linux test]# touch B
[root@Linux test]# ll
total 0
-rw-------. 1 root root  0 Apr 27 16:15 B

>> 기본 허가권 666 -077-> 600 -> rw-/--- /---/로 새로운 파일이 생성된다.

 

1. 작동 원리

/etc/profile.d

[root@Linux ~]# cat /etc/profile.d/local-umask.sh
# Overrides default umask configuration asda sda
if [ $UID -gt 199 ] && [ "'id -gn'" = "'id -un'" ]; then
umask 007
else
umask 022
fi

 

2. 옵션

-S : umask값을 문자로 표기한다.

[root@host ~]# cat /etc/profile.d/local-umask.sh
# Overrides default umask configuration asda sda
if [ $UID -gt 199 ] && [ "'id -gn'" = "'id -un'" ]; then
umask 007
else
umask 022
fi

 

'리눅스-기초명령어 > 파일 및 유저 권한' 카테고리의 다른 글

ACL (Access Control List)  (2) 2023.09.01
chgrp  (0) 2023.08.31
chown  (1) 2023.08.31
chmod  (0) 2023.08.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