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adow파일에서 root 패스워드에 대한 정보를 볼 수 있다.
[root@Linux ~]# vi /etc/shadow # vi 편집창 ... root:$6$8vztKCHBDsh2Tv4L$1UGtoX3z.n/K0eAEXmjvgp42/n/TS1lpc/FxyDM6A5m6Lgtoe.gYeUZGl55mGqkTPARpRVFxa8/5CHcGwdnst0::0:99999:7::: admin:$6$NvEuZC0OIQd87vK5$wlmnYD7KC2Wm8m1pky88io/5msH6cxmVqzkAv.pyS6powGX9p0IpUStLNoO4ySJPvZpm1WLqd9ZJMO0W1.MXZ0:19471:0:99999:7::: # : 을 기준으로 정보의 항목이 나뉘어있다. |
- 각 항목의 구분
root :$6 $8vztKCHBDsh2Tv4L $1UGtoX3z.n/K0eAEXmjvgp42/n/TS1lpc/FxyDM6A5m6Lgtoe.gYeUZGl55mGqkTPARpRVFxa8/5CHcGwdnst : :0 :99999 :7 : : : |
- 첫번째 : 유저 이름
- 두 번째 : 암호화 방식, 해시 솔트에 입각한 암호 형태. $로 구분하여 나누어진다.
- 세 번째: 마지막으로 암호를 변경한 날짜
- 네 번째 : 암호 변경을 위한 최소 날짜 수
- 다섯 번째 : 암호 변경을 위한 최대 날짜 수
- 여섯 번째 : 암호가 만료되기 전에 미리 사용자에 경고할 날짜 수
- 일곱 번째 : 암호 만료 후에 계정을 비활성화할 날짜 수
- 여덟 번째 : 계정 만료 날짜
- 아홉 번째 : 현재는 비어 두지만 미래에 사용할 공간
'리눅스-기초명령어 > 계정 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USER (0) | 2023.08.31 |
---|---|
chage (1) | 2023.08.31 |
id (0) | 2023.08.31 |
sudo(superuser do) (0) | 2023.08.31 |
SU(substitute user) (0) | 2023.08.31 |